복지

신생아특공, 저출산 문제에 대한 진실!!

있제 언니 2023. 12. 17.

신생아 특공은 정부가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2024년 3월부터 신생아 특별공급 제도입니다. 신생아 특공은 입주자 모집 공고일로부터 2년 이내 임신 또는 출산한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공공분양주택의 최대 35%를 공급하는 제도이다.

 

또한 신생아 특공은 저출산 문제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도입 초기에는 당첨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이미 자녀를 키우는 가구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기도 합니다. 

 

신생아 특공이 저출산 해결의 중요한 해결점이 될수 있을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신생아특공

1. 신생아특공 도입 배경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990년대 초반 2.0명대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합계출산율이 0.7명대로 떨어져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저출산은 인구 감소와 노동력 부족, 고령화 등의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신생아 특공입니다. 신생아 특공은 출산 가구의 내 집 마련 기회를 확대하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2. 신생아특공 대상 및 요건

신생아 특공의 대상은 입주자 모집 공고일로부터 2년 이내 임신 또는 출산한 무주택 가구입니다.

 

가구 소득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200% 이하, 가구 자산은 2940만 원 이하로 제한됩니다. 

 

신생아 특공은 공공분양주택의 최대 35%를 공급합니다. 이는 전체 공공분양주택 물량의 약 10%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3. 신생아특공 효과

신생아 특공은 저출산 문제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출산 가구의 내 집 마련 기회를 확대하고, 출산을 장려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실제로 신생아 특공이 도입되면, 출산 가구의 청약 당첨 가능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공공분양주택의 청약 경쟁률은 평균 100대 1을 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신생아 특공 가구는 일반공급 가구와 별도로 배정되기 때문에, 당첨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또한, 신생아 특공은 출산을 장려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신생아 특공을 통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다면, 출산을 망설이는 가구들이 출산을 결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신생아특공 한계

신생아 특공은 도입 초기에는 당첨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이미 자녀를 키우는 가구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우선, 신생아 특공의 당첨 가능성은 매우 높기 때문에, 일반공급 가구의 당첨 기회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신생아 특공 가구는 일반공급 가구와 별도로 배정되기 때문에, 일반공급 가구의 경쟁률이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미 자녀를 키우는 가구는 신생아 특공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점에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생아 특공의 대상을 확대하거나, 이미 자녀를 키우는 가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의 방안이 필요합니다. 

 

5. 신생아특공 결론

신생아 특공은 저출산 문제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도입 초기에는 당첨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이미 자녀를 키우는 가구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생아 특공의 대상을 확대하거나, 이미 자녀를 키우는 가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